먼저 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는 Room을 검색하면 Room 사용법,CRUD 예제등은 많이 나오지만, 실제로 앱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보는 방법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먼저 Room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면
"SQLite에 대한 추상화 레이어를 제공하여 원활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지원하는 동시에 SQLite를 완벽히 활용합니다."
이라 한다.
이 말을 보면 Room이란 SQLite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걸 좀 더 쉽게 쓰기 위해 만든 라이브러리 라는 것이다.
그래서 Room으로 만든 데이터를 보는 방법은
DB Browser for SQLite
DB Browser for SQLite The Official home of the DB Browser for SQLite Screenshot What it is DB Browser for SQLite (DB4S) is a high quality, visual, open source tool to create, design, and edit database files compatible with SQLite. DB4S is for users and dev
sqlitebrowser.org
위의 것은 SQLite를 시각화 해서 보는 것이다.
이 방식은 나중에 해볼까 하고 지금은 다른 방식을 소개하려 한다.
2. https://github.com/amitshekhariitbhu/Android-Debug-Database
amitshekhariitbhu/Android-Debug-Database
A library for debugging android databases and shared preferences - Make Debugging Great Again - amitshekhariitbhu/Android-Debug-Database
github.com
이 글에서 소개할 라이브러리다.
위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시각화 해서 볼 수 있고, 데이터도 조작 가능하다.
사실 위 라이브러리 글도 꽤 있는데 검색해보면 실제로 쓰기 위한 중요한 부분이 잘 안나온다.
여기서는 그 방법을 소개할 것이다.
1)import
위의 주소를 가서 최신버전을 implement 한다.
주소로 들어가 스크롤을 내리면 나온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본인 프로젝트]->[app단 bulid gradle] 에 붙여넣기

오른쪽 상단에 open으로 되어있지만 추가하면 sync now 라고 뜰것이다.
sync now를 누른다.
그리고 앱을 실행하면 run 이나 logcat에 해당 메시지가 출력된다.

저 링크를 누르면

이렇게 뜨고 안된다.
이유는 같은 인터넷 회선이 아니기 때문이란다.
뭔소리지?! 나는 에뮬레이터를 실행했는데?!! 에뮬레이터는 같은 회선 아닌가?! 라는 의문이 들지만 그렇단다.
이제 부터 실행 되게 하는 법을 소개한다.
[에뮬레이터] -> [설정] -> [에뮬레이터된 기기 정보] -> [빌드 번호 연타]



빌드 번호 하면 설정에 개발자 옵션이 생긴다.

[개발자 옵션] -> [USB 디버깅 체크]

ADB 툴에서 adb forward tcp:8080 tcp:8080 입력

입력 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adb툴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시 기본 경로에 했다면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Android\Sdk\platform-tools 에 있다.
혹시 잘 모르겠거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내 터미널에서 편하게 하고 싶으면 아래 글을 보시면 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터미널에서 ADB 명령어 바로 사용하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터미널 상에서 adb 명령 편하게 하기 adb 툴은 안드로이드를 설치하면 기본으로 설치 되어 있는데 경로는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Android\Sdk\platform-tools 에 있다. 잘 모르겠�
sjhp.tistory.com
여기까지 하고 다시 실행 시킨 후 http://localhost:8080/ 을 입력하면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들을 볼 수 있다.
ps. 에뮬레이터를 새로 켤때마다 adb forward tcp:8080 tcp:8080 를 입력해 주어야 한다.
고정하는 방법이 있을텐데 그건 찾아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다.
한번 킨 상태에서는 여러번 앱을 다시 실행해도 잘 동작 한다.
viewer 사용 방법이 궁금하다면 위의 git허브 문서를 읽어보길 바란다.
'안드로이드 > ro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om에 대한 고찰 (0) | 2020.08.08 |
---|